Github Desktop 이용 배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.
- github 가입
- github-desktop 설치
- 새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
- 로컬에서 원격 레포지토리에 Publish
- 로컬 파일 생성/추가/수정/삭제
- github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새 파일 생성
- 원격 레포지토리 클론
- github 에 새 원격 레포지토리 생성
https://blog.thinkbee.kr/
1. github 가입
2. github-desktop 설치
Github Desktop 설치: https://desktop.github.com/
GitHub Desktop 설명서: https://docs.github.com/ko/desktop
![](https://i.imgur.com/XjtoOmV.png)
다운로드
![](https://i.imgur.com/pNS7c3i.png)
다운로드한 github-desktop을 설치한다.
처음 시작
![](https://i.imgur.com/YjUB9Ns.png)
Sign in to Github.com
Completes Sign in to Github.com
![](https://i.imgur.com/f5q2EBg.png)
3. 새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
새 로컬 레포지토리 생성
![](https://i.imgur.com/u2KHePW.png)
새 로컬 레포지토리 정보 입력
![](https://i.imgur.com/K74glBI.png)
새 로컬 레포지토리
![](https://i.imgur.com/SMwuBDi.png)
4. 로컬을 원격 레포지토리에 Publish
로컬 레포지토리를 직접 원격 레포지토리로 생성하고 업로드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ElftFgp.png)
원격에서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야 하므로 이름을 입력
![](https://i.imgur.com/Hy87uNJ.png)
![](https://i.imgur.com/vQa3ytr.png)
5. 로컬 파일 생성/추가/수정/삭제
![](https://i.imgur.com/JX5FAvA.png)
github-desktop 에서 로컬 레포지토리에 생성/추가/수정/삭제한 파일을 확인하고 Commit 해야 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QoCGT3q.png)
로컬 레포지토리 변경되면 Commit 하고 원격지에 Push 로 업로드한다.
로컬 레포지토리 변경되면 Commit 하고 원격지에 Push 로 업로드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8N7IGvd.png)
6. github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새 파일 생성
github 레포지토리에서 add file 을 사용해서 파일, 디렉토리를 만들수 있다.
![](https://i.imgur.com/ANzL1pg.png)
![](https://i.imgur.com/pNiWinI.png)
원격 레포지토리에 변경이 발생하면 로컬에서 Fetch 를 통해 변경 사항을 확인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EwyOMRI.png)
원격 레포지토리 변경 사항을 로컬과 동기화를 하려면 Pull 을 실행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BfJfb2n.png)
원격 레포지토리 Pull 결과
![](https://i.imgur.com/ADDl8L7.png)
1 |
7. 원격 레포지토리를 로컬에 클론
예를 들어 https://github.com/tensorflow/examples 를 클론한다면
![](https://i.imgur.com/nx2rXXr.png)
github-desktop 직접 열기
![](https://i.imgur.com/mS6ZdVP.png)
github-desktop 직접 열기
![](https://i.imgur.com/A4GiI0I.png)
8. 원격 레포지토리 Fork
github 의 다른 레포지토리를 Fork 한다.
![](https://i.imgur.com/Ulkzlxi.png)
9. github 에 새 원격 레포지토리 생성
![](https://i.imgur.com/uvFQaPo.png)
![](https://i.imgur.com/mTdtwOB.png)
1 |